[투데이안] 정읍시농업기술센터가 지난 24일 ‘2025년 생활자원분야 시범사업 평가회’를 열고 지역 농업인의 소득 증대와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한 사업들의 성과를 점검했다.
평가회에서는 농식품 가공과 농작업 안전 등 총 11개 사업의 실적을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이번 평가회는 농업인의 소득 기반 강화와 생활환경 개선을 목표로 진행된 다양한 실증사업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돌아보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농식품 가공 분야 7개 사업과 농작업 안전·농촌체험 분야 4개 사업의 추진 경과와 성과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
올해 시범사업은 농산물 가공 역량 강화, 농식품 상품화 지원, 소규모 가공 기반 구축 등 가공 분야 경쟁력 제고에 중점을 두고 추진됐다.
그 결과 신규 제품 개발, 시제품 제작, 가공시설 및 장비 개선 등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거뒀으며, 특히 소규모 농가의 판로 연계 기반이 확대되면서 소득 증대 효과가 나타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센터는 현장에서 검증된 가공기술을 내년도 사업에 확대 적용해 농가 소득창출형 가공 모델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평가회는 사업 성과 발표, 분야별 우수사례 공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고, 농업인과 관계자의 현장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는 데 주력했다.
이날 제기된 문제점과 개선 의견은 향후 사업 계획에 적극 반영될 예정이다.
참석 농업인들은 “시범사업을 통해 가공기술을 현장에서 직접 적용해 볼 수 있어 도움이 컸다”며 “새로운 가공품 개발과 시설·장비 지원을 통해 소득 확대에 실질적인 기여가 있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앞으로 소규모 농가도 안정적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판로 지원을 더욱 강화해 달라”고 건의했다.
김원심 농촌지원과장은 “올해 가공 분야 시범사업으로 농가가 직접 상품을 개발하고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는 가공기술 고도화, 품질관리, 유통·마케팅 지원을 확대해 농가가 안정적으로 가공사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또한 “농작업 안전·체험사업 역시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