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안] 주민이 주도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서비스 공동체’ 활동이 정읍에서 결실을 맺고 있다.

정읍시와 (사)정읍시지역활성화센터는 지난 25일 사회서비스 공동체 성과공유회를 열고, 전북거리공연연합회 등 5개 공동체가 올 한 해 동안 추진한 다양한 변화와 성과를 공유했다.

이번 사업은 공동체성 강화와 지속 가능한 사회서비스 기반 마련을 목표로 추진됐다.

시는 공개모집과 서류·면접 심사를 통해 교육·문화·돌봄·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할 5개 공동체를 선정해 지원해 왔다.

성과공유회에서는 각 공동체가 추진한 특색 있는 활동들이 소개됐다.

‘전북거리공연연합회’는 학산고와 옛 정읍우체국 광장에서 두 차례 거리 공연을 열어 지역 예술인과 시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을 만들었다.

시민들은 도심 가까이에서 수준 높은 공연을 접할 수 있어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공간살리기’ 팀은 정리수납 전문 활동가와 함께 경로당, 한부모가정, 독거노인, 다자녀가정 등을 방문해 맞춤형 정리 서비스와 생활관리 교육을 제공했다.

단순 정리에 그치지 않고 생활 습관 개선까지 돕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주거 환경 개선 효과를 이뤄냈다.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웃는 多(다) 공동체’는 1박 2일 한국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태산선비문화관과 내장산 일대 탐방을 통해 가족 간 소통을 강화하고 지역문화를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제공했다.

문화 소외계층을 위한 활동도 이어졌다.

‘클래식 팩토리’는 입춘대길복지관과 서부복지센터에서 어르신 대상 클래식 연주회를 두 차례 열었다.

은은한 악기 선율로 채워진 공연은 어르신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여가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환경 보호에는 ‘VIP봉사단’이 앞장섰다.

상학마을과 정해마을에서 플로깅 활동을 두 차례 진행하며 환경정비와 함께 주민 참여형 환경보호 문화를 확산시켰다.

시는 이번 활동을 통해 주민이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는 구조가 정착되며 지역의 일상적 문제 해결에 실질적 성과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또한 공동체 간 교류와 협업 기반이 강화된 만큼 향후 더 폭넓은 주민활동이 전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학수 시장은 “주민들이 직접 실행한 다양한 활동은 지역사회에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냈다”며 “앞으로도 주민 역량 강화와 공동체 기반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