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청결·자원재활용·폐기물 자원화 등 3대 정책과제 집중 추진
-소각열·전력 판매로 연 13억 원 수익…순환형 청소 행정 본격화
[투데이안] 익산시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깨끗하고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청소 행정 강화에 본격 나섰다.
김형훈 익산시 녹색도시환경국장은 5일 정례 브리핑에서 “깨끗한 도시환경 조성, 자원 재활용 촉진, 폐기물 자원화 등 3대 정책 과제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올해 생활폐기물 관리 전반에 346억 원을 투입해 청결한 도시 조성에 나섰다. 주요 사업으로는 쓰레기 종량제 운영, 노후 슬레이트 철거,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처리, 영농폐기물 처리 등이 추진됐다.
특히 최근 실시한 생활쓰레기 불법 배출 일제 단속에서는 총 1,045건의 위반 사례를 적발하며 시민 의식 개선을 유도했다.
또 지난해 집중호우로 발생한 수해 폐기물 2,600톤을 국비 10억 원을 확보해 신속히 처리하며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
농촌지역 환경 개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슬레이트 318동 철거, 영농폐비닐·농약빈병 수거 보상금 지원, 생활폐기물 거점 배출시설 설치 등으로 농촌지역 환경 정비에 실질적인 성과를 거뒀다.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위한 재활용 확대에도 146억 원이 투입됐다.
시는 올해 투명페트병 189톤, 폐건전지 13톤, 종이팩 27톤을 수거했으며, 공동주택 47개소에 음식물쓰레기 개별 계량장비를 교체·설치해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을 유도했다.
다량배출사업장에도 감량기 설치를 지원하며 감량 기반을 강화했다.
또한 학교·단체·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자원순환 실천 운동을 펼쳐 시민이 주도하는 재활용 문화 확산에도 앞장서고 있다.
시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폐기물 처리 시스템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단순 폐기물 처리를 넘어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형 자원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소각철 판매, 소각열 온수 공급, 전력 생산 및 판매 등으로 연평균 약 13억 원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는 시 재정 건전성과 지속가능한 자원순환도시 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김형훈 녹색도시환경국장은 “청결한 환경은 시민의 삶의 질과 직결된 핵심 과제”라며 “시민과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지속가능한 청소 행정을 통해 깨끗하고 살기 좋은 익산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