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의원의 반복된 불참, 시민의 선택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투데이안] 지난 7월 28일과 9월 1일, 정읍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하 "예결위") 회의가 두 차례 열렸지만 민주당 의원들의 집단 불참으로 모두 무산되었다.

위원장․부위원장을 선출하는 중요한 자리에서 제1당 의원들이 의도적으로 불참하며 의회 운영을 멈춰 세운 것이다.

예결위는 민주당 의원 4명, 조국혁신당 의원 1명, 무소속 의원 3명으로 구성되어 있어, 민주당 의원이 빠지면 단 한 건의 안건도 처리할 수 없다.

이는 제1당의 책임을 회피한 행태이자,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는 무책임한 행동이다.

정읍시 예산을 다루는 의회의 핵심 기구가 정당의 이해관계에 휘둘려 멈춰 선 것은 시민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일이다.

예결위는 정읍시 예산 편성과 집행을 심사하는 의회의 심장이다.

그런데 민주당 의원들의 반복된 불참으로 의회 본연의 기능이 사실상 마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파행이 이어진다면 오는 11월에 예정된 2026년도 본예산 심사가 무산되고, 결국 ‘준예산 심사’로 전락할 수도 있다.

이는 지방재정의 정상적 운영을 크게 훼손하고 시민 생활 전반에 직격탄을 안길 것이다.

따라서 민주당 의원은 반복된 불참에 대해 동료 의원과 시민에게 마땅히 사과해야 하며, 더 늦기 전에 위원장․부위원장 선출과 의회 정상화를 위해 적극 협조해야 한다.

이는 선택이 아닌 제1당으로서 반드시 져야 할 책임이다.

만약 이러한 불참이 계속된다면, 이는 단순한 정치적 갈등이 아니라 의원으로서의 기본 의무를 저버린 징계 사안으로 비화할 수 있다.

정당한 사유 없이 반복적으로 회의를 거부하는 행위는 지방자치법과 의회 규정에 따른 징계 대상이며, 심각할 경우 윤리특별위원회 회부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의원 개개인은 정당의 논리가 아니라 시민의 대표로서 의무를 지고 있다.

반복되는 불참은 시민의 권한을 무시하고 지방의회를 무력화하는 중대한 일탈 행위다.

스스로 자정하지 못한다면, 윤리 절차를 통해 책임을 묻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는 특정 정당을 넘어 의회의 권위를 지키고, 시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필요한 과정이다.

이제 해답은 시민의 손에 달려 있다. 시민 다수는 이미 정당공천제가 지방정치를 왜곡한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조사에 따르면 약 85%가 정당공천제 폐지를 희망한다고 한다.

당적이 아니라 시민의 선택을 받은 참신한 인물이 지역 일꾼으로 선출되어야 의회가 새로워질 수 있다.

내년 지방선거는 민주당 의원의 잘못된 행태를 심판하고, 정읍시의회를 시민 중심으로 혁신할 중요한 기회이다.

특정 정당이 의회를 독점하는 구조가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며 서로 견제하는 건강한 의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민의 현명한 선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투표는 권리를 넘어 미래를 바꾸는 힘이다. 시민이 깨어 있는 선택을 통해 예결위 소속 의원의 반복된 불참을 바로잡고, 정읍시의회를 새롭게 세워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풀뿌리 민주주의를 지켜내는 길이며, 정읍의 미래를 밝히는 희망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