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안] 2013년 세 차례 좌초됐던 전주·완주 행정통합 논의가 2021년 6월 3일을 기점으로 재점화되면서, 지난 2월 5일 전주시 시민협의회가 발족식을 열고 본격적인 행보에 돌입했다.

전주시는 이후 전주시자원봉사센터 내에 통합 사무국 현판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으며, 전북도의회도 ‘상생발전 지원 조례안’을 통과시키면서 행정 통합 논의에 본격적인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노동식 전주시 시민협의회 지역개발분과 위원장은 10일 본사와의 인터뷰에서  “통합의 가장 큰 걸림돌은 정치”라며 “정치인들이 자신들의 영달을 위해 소수의 의견으로 다수를 지배하는 반(反)민주적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이 당론 차원의 통합 정책을 미루고 있는 점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당론으로 통합을 추진하면 모든 것이 해결될 수 있다”며 “군수, 국회의원, 일부 군의원들이 조직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여론조사 결과, 완주 이서면·상관면·구이면·삼봉지구 등 주요 지역에서는 통합 찬성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주시 협의회에 따르면, 완주군이 요구한 107가지 상생 방안 가운데 대부분을 수용할 방침이다.

전주시의 시청사 이전, 의회 운영권, 관광벨트 구축 등 핵심 현안도 완주군으로 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 협상이 진행 중이다.

문화·교통·교육·복지 등 전 분야에서 완주군의 수요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완주군민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세금 폭탄’, ‘혐오시설 이전’ 등에 대한 불안감이 존재한다.

이에 대해 노동식 위원장은 “통합 이후 12년간은 기존 제도가 그대로 유지된다”며 “그간 제기된 우려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반박했다.

또한 “통합이 실현될 경우 완주 지역에는 굵직한 기관들이 이전하게 되고, 종합병원, 대형마트, 농업·문화·청년 인프라 등이 함께 옮겨가는 복합적인 효과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삼봉지구의 일부 아파트는 통합 논의가 본격화된 2023년 이후 시세가 3억원대에서 4억5000만원대로 뛰며 부동산 시장에서도 통합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다.

전주에서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자영업자들이 완주 지역으로 사업 확장이 어려운 현실도 지적됐다.

통합이 성사되면 저렴한 토지 비용과 넓은 부지로 인해 사업 환경 개선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시민협의회는 통합 무산 시 '전주-김제-새만금 통합' 시나리오도 염두에 두고 있다.

김제시의 경우 찬성 여론이 80% 이상으로, 별도 주민투표 없이도 통합이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재 새만금 고속도로 등 기반시설 확충이 가시화되고 있는 점도 김제와의 통합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통합 추진 시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통합추진네트워크는 삼례·봉동시장 등지에서 홍보 팸플릿 배포, 자장면 봉사 등 다양한 오프라인 캠페인을 전개 중이다.

아울러 ‘범도민 대책기구’ 구성도 진행 중으로, 전주 시민과 완주 군민이 함께하는 통합 공감대 확산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노동식 위원장은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전주시민, 완주군민 모두가 함께하는 통합을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며 “언론과 민간단체, 시민사회가 끝까지 힘을 보테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