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안] 전주가 광역교통의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최근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대광법) 개정과 관련해 "이번 법 개정은 전주를 중심으로 완주, 김제, 익산을 아우르는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앞당기는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 시장은 "대광법 개정으로 광역도로와 광역철도, 간선급행버스체계(BRT), 환승센터 등 주요 교통 인프라 구축에 국비 지원의 길이 열렸다"며 "이는 전주권 교통체계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결실을 맺기까지 뜨거운 열망과 지지를 보내준 전주시민과 전북도민, 균형발전을 위해 헌신해 온 정치권과 전북특별자치도 관계자들께 깊은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우 시장은 현재 전주와 인근 지역 간의 광역 통행량이 사실상 하나의 생활·경제권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재정적 제약 탓에 광역교통망 구축이 지연돼 왔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 대광법 개정을 계기로 전주권 내 교통망은 물론, 도와 도를 잇는 대외 교통망까지 사통팔달로 연결되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우 시장은 선도적 광역교통망 구축이 가져올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출퇴근길 교통여건이 실질적으로 개선되고, 도시 간 연결성이 강화되면서 지역 경쟁력도 높아질 것"이라며 "이는 결국 지역경제 전반에 나비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주가 광역교통의 중심지로 첫걸음을 내딛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 대목이다.

아울러 그는 "대광법 개정의 효과를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가장 필요한 곳에 가장 시급한 길을 연결하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준비와 맞물려 이번 광역교통망 강화가 전주를 넘어 세계로 도약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포부도 밝혔다.

이번 대광법 개정을 계기로 전주와 인근 도시를 유기적으로 잇는 광역 간선도로, 광역버스, BRT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구축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도심에 집중된 교통량 분산과 함께 만성적인 교통 혼잡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에서 익산, 완주, 김제 등으로 통근하거나 통학하는 시민이 많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이동 시간 단축과 도로 이용 효율성 향상 등 실질적인 변화가 뒤따를 전망이다.

광역교통망 구축은 단순한 교통 인프라 확장에 그치지 않고, 전주권의 생활권과 경제권을 넓히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육·의료·문화·산업 인프라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시민들의 생활 편의가 증대되고, 이는 곧 기업 유치, 산업 활성화로 이어지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 접근성 개선은 전주를 보다 매력적인 투자처로 만들어 청년 인구 유입과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앞으로 전주권 광역교통 시행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전주 대도시권 범위가 조속히 시행령에 반영되도록 전북특별자치도와 협력할 방침이다.

또한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2026~2030)에도 전주권 주요 사업이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남관우 전주시의회 의장 역시 "대광법을 기반으로 광역교통망 사업이 현실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도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시민 중심의 교통 편의 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의정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우 시장은 "이번 대광법 개정은 전주 교통 인프라 발전의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광역교통계획 수립과 교통망 구축을 통해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조속히 만들어 내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