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안] 지난 1987년, 전주 완산구 전동에 뿌리내린 사회복지법인 동암(東岩)은 그 이름처럼 굳건하게 장애인 복지의 길을 걸어왔다.
설립 당시 보건사회부의 인가(1987-667호)를 받아 같은 해 10월 전주지방법원에 등기된 이 법인은,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 복지체계가 본격적으로 정비되던 시기에 뜻깊은 출발을 알렸다.
법인을 설립한 양복규(楊福圭) 대표는 1938년생으로, 전북 지역 사회복지의 선구자로 꼽힌다.
양 대표는 장애인의 자립과 권익 신장을 위한 토대를 놓는 데 평생을 헌신해왔다.
법인의 주소지는 전주시 완산구 팔달로 146번지. 소박한 동네 한복판에 자리 잡은 이곳은 그러나 지역 장애인들에게는 삶의 중심이자 희망의 거점이다.
동암이 추구하는 설립 목적은 명확하다.
장애인복지법과 사회복지사업법에 근거해, 장애인의 재활과 보호, 그리고 지역 저소득층을 위한 사회복지사업을 통해 사회 통합과 복지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현재 동암 법인은 총 5개 복지시설을 운영 중이다.
▲전북특별자치도장애인복지관 ▲동암재활원 ▲동암차돌학교 ▲동암자활자립장 ▲전북특별자치도 징애인 작업장 등이다.
이 외에도 학교법인 산하의 동암고등학교가 따로 운영되고 있다.
투데이안은 창사 15주년을 맞아 동암재단을 6회에 걸쳐 기획 시리즈로 소개한다./편집자 주
①동암재단 설립자 양복규 이사장 인터뷰 ②전북특별자치도 장애인 복지관 ③동암재활원, ④동암차돌학교, ⑤동암자활자립장, ⑥전북자치도장애인작업장 순
◆③동암재활원, ‘사회 안의 온전한 통합’을 향해
전북 완산구 천잠로 일대, 지역 장애인 복지의 한 축을 묵묵히 떠받치고 있는 동암재활원이 변화와 혁신의 시간을 걸어오고 있다.
1990년 개관 이후 30여 년, 한결같이 장애인의 자립과 권익 보호를 위해 땀을 흘려온 이 시설은 이제 ‘거주시설 역할모델’을 선도하는 기관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동암재활원은 장애인복지법 제59조 및 관련 조례에 따라 설립된 장애인 복지 거주시설이다.
표면적인 보호를 넘어, 이용 당사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사회적 역할 수행 능력을 키우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단순한 돌봄을 넘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진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2025년 4월 기준, 동암재활원은 원장을 중심으로 사무국장을 거느린 1국 2팀 체제다.
총무·서비스지원팀은 인사관리, 식단 운영, 지역자원 관리 등 운영 전반을 총괄하고, 생활재활팀은 개별 서비스 계획 수립과 일상환경 조성, 재활치료를 맡는다.
이 밖에 운영위원회, 인사위원회, 인권지킴이단, 이용자자치위원회 등 각종 거버넌스 체계가 정비돼 있으며, 현재 정원 21명 중 19명이 근무 중이다.
◆역사 속으로 본 변화… “지속가능한 시설로의 진화”
동암재활원의 30년사는 곧 변화의 역사다.
1990년 개원 당시 본관(1,565㎡)을 신축하며 첫 삽을 떴고,2001년에는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해 ‘동암자활자립장’과 분리 운영을 시작했다.
2017년,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며 공적 신뢰를 얻었고, 2024년, 복권기금 차량 지원 사업에 선정되며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한 기능 보강을 마쳤다.
그 외에도 생활관 리모델링, 저온저장고 및 냉난방 설비 교체, 공기순환기 설치 등 시설 환경 개선이 지속돼 왔다.
◆2024~2026 경영전략, ‘함께 성장하는 자립생활 공동체’
'함께 성장하는 자립생활 공동체 구현'이라는 미션 아래, 동암재활원은 세 가지 경영목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투명한 경영 △안전문화 정착 △장애인 중심의 소통과 배려 등이다.
이와 함께 11대 전략과제를 실행 중이다. 자립능력 배양, 권익 보호, 지역사회 연계, 시스템 내실화,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 등은 모두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위한 동암의 로드맵이다.
부지면적 8,499㎡, 연면적 1,205㎡로, 동일 부지 내에는 차돌학교도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소방설비(소화기 33대, 감지기 40개), 냉난방 시스템(18대), 인터넷전화(17대), 조경시설, 리프트 차량 등 기능 보강도 착실히 진행되어 있다.
보유 차량은 총 4대(승합차 2, 경형차 1 외), 생활자 이동의 발이 되어 준다.
◆ “사람이 중심”… 지역사회 속에 깊게 뿌리내리다
동암재활원의 진짜 힘은 ‘시설’이 아닌 ‘사람’에 있다.
오랜 시간 이곳을 지켜온 종사자들과, 자립을 향해 한 발 한 발 내딛는 이용자들, 그리고 지역 사회의 따뜻한 손길이 함께 만들어낸 공동체는 오늘도 묵묵히 장애인 복지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거주시설의 역할모델이 되겠다'는 이들의 선언이, 머지않아 전북을 넘어 전국 곳곳으로 울려 퍼질 날이 머지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