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책임:김수은 전북연구원 책염연구위원
연구진 : 박세현 전북연구원 전문 연구원
[J think 이슈 브리핑] 적정수준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민고용안전망 강화, 스마트 일터 조성, 안전한 일터 조성, 워라밸 일터 지원 등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청년 인구 이동의 주요 원인이며, 청년의 구직에 있어서 좋은 우선 고려 사항이다.
이슈브리핑에서는 전북지역 내 좋은 일자리 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전북자치도 좋은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한다.
◆전북자치도 좋은 일자리 현황
일자리 중 임금, 근로시간, 고용안정성을 모두 만족하는 좋은 일자리 수는 2023년 기준 157,182개로 도내 전체 일자리 수 중 16.4%를 차지하고 있다.
좋은 일자리는 2013년(9만 3,325개) 대비 6만 3,857개 증가한 가운데, 전주에서 지난 10년간 좋은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중 고용안정성 측면에서의 좋은 일자리 수는 2023년 447,769개로 전체 일자리 중 46.7%를 차지하고 있다.
좋은 일자리 수는 전체 일자리 중 52.0%인 499,312개로 나타났다.
년 근로시간 측면의 좋은 일자리는 2023년 기준 623,053개로 도내 전체 일자리 중 64.9%를 차지하고 있다.
◆전북자치도 정책적 방향
지역고용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일자리의 양적 확대 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인식하는 좋은 일자리와 요건을 파악하기 위해 ‘일자리 종합실태조사’ 실시가 필요하다.
일자리 창출 사업 실시, 기업-구직자간 일자리 중개, 고용서비스기관 네트워킹, 지속적인 사업 모니터링 등을 위한 전담기구 설립이 요구된다.
일자리 창출 촉진 조례 제정 및 일자리 조성을 위한 시책추진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