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안] 6.25 전쟁이 발발하고 7월초 학도의용군에 지원 또는 소집돼 군번없는 군인으로 출정한 학생은 전국적으로 2만 7,700명 이상이다.

이 가운데 전북에서 출정한 학도병은 3,500여명이며, 530여명이 전사했다.

전종환 학도병은 완주 고산 출신으로 1932년 2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전주 북중 졸업을 앞둔 그는 6.25사변이 발발한 얼마 뒤인 1950년 7월 13일 학도병으로 소집돼 군에 입대한다.

당시 나이는 18세.........

투데이안은 지난 6월 1일 전주고등학교 충혼탑에서 열린 6.25 참전 동문 전사자 8인 추각식에 참석한 전종환 당시 6.25 학도병을 만나 '6.25 학도병 참전 일지'를 근거로 10회에 걸쳐 호국영령들을 되세긴다./편집자 주

◆6사단장 19연대장

그러고 나서 사무실에 들어가니까 “저 반동분자들을 전주로 압송할테니까 너희들도 준비하라.”는 거예요.

그러면서 그 사람들을 끌어내서 두 사람을 하나로 서로 손을 묶습디다.

한 30명가량을 묶고 일렬로 주욱 세웁디다.

그리고 우리들 보고는 “자네들 호칭은 6사단 19연대에 있었으니까 자네는 6사단장, 그리고 또 조필형이는 19연대장.” 이렇게 별명을 붙여요.

너희들은 군대 경험도 있고 하니까 이 사람들 전주까지 호송하는데 앞뒤에 서서 같이 우리를 도와서 전주까지 무사히 호송되도록 하자.

그렇게 우리에게 최대의 신뢰감을 보여주며 안심시켰어요.

고향으로 향한다는 그 사실과 전주에 가면 석방시켜준다는 말에 내 가슴은 기쁨과 기대 그리고 무지개 같은 희망으로 꽉 차올라 발걸음이 가벼웠습니다.

◆전주를 향하여

그들은 총을 맨 요원 다섯 명이 앞뒤로 섰고 우리는 그냥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하면서 그 사람들이 시키는 대로 심부름도 하면서 출발했습니다.

무주에서 출발해서 약 2Km 나오면 고갯길이 됩니다.

고개 위에서보니 무주읍내가 한눈에 보이대요.

그런데 출발 전에 먹은 그 맛있는 흰쌀밥이 갑자기 걷는 바람에 그냥 목까지 꽉 차있어 심한 복통을 도저희 참을 수가 없어 생땀이 나고 죽겠드라고….

인솔책임자가 왜 그러냐고 묻길래 아까 밥을 먹었는데 이게 체했는가 영 못 견디겠다고 했더니 멍청하게 많이 먹었구만 하며 핀잔을 주대요.

고갯길까지 겨우겨우 올라갔는데 거기서 손가락을 넣어 다 토했지요.

내가 공직생활하면서도 무주에 출장 갈 때면 꼭 그 고갯길에 서서 그때 일을 회상하고는 했습니다.

무주에서 전주까지 오는데 2박 3일, 도중에 이틀 밤을 잤어요.

어느 부락이든 그 부락 책임자를 불러내어 저녁을 준비시켰고 이 사람들이 잠 잘 때도 묶인 두 사람을 손을 풀어주지 않고 그냥 쭈그리고 앉아서 자도록 했지요.

그런데 그들은 어김없이 가는 곳마다 닭 잡고 아주 성찬으로 대접을 받는데 그 때 그 오랜 시간 동안 고기 맛을 못 본 나의 창자는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군침 도는 그 고기 한 조각 얻어먹으면 그렇게…. 허허허 흡족하고, 먹고 싶었어요.

2박 3일 걸려서 오는데 마지막 날 진안 쪽에서 소양 거쳐 전주로 들어오는데 소양면 소재지를 막 통과하는데 부락민들이 다 서서 봅니다.

◆살아가기만 해봐라

그런데 그 가운데에 내 중학교 동기동창인 정선량이라는 친구가 나와서 보고 있더라고 하도 반가워서 “선량아” 불러도 못 알아봐요.

워낙 머리도 더부룩하고 헤지고 더러워진 핫바지를 입고 있으니 거지같이 생겼죠.

그래 나 누구라고 했더니 그때사 알아보고 “웬일이냐?”

그래서 “나 학도병 갔다가 이렇게 되었다.” 그랬더니 “짜식 학도병은 왜 갔어.” 그러면서 싸늘한 눈초리로 거들떠보지도 않고 사라지더라고…. 후에 알았지만 민청요원이었다나.

아무리 체제가 바뀌었어도 한 교실에서 학습한 친구가…. ‘오냐, 내가 살아가기만 해봐라. 내가 너를 가만두지 않겠다.’ 하는 그런 마음에 앙심과 오기가 생깁디다.

◆우리집 앞으로 갑시다

여하튼 무주에서 전주까지 오는 그 사이에 인솔책임자는 예상보다 부드럽게 대해 주었어요.

이런 저런 얘기도 하면서 오는데 말이 좀 통하는 사람같아 보였어요. 그래서 그 사람보고 내가 그랬죠.

“전주에 가면 어디로 우리를 데리고 갑니까.” 그러니까 도청 앞 치안대라고 그래요.

“아~ 거기가 옛날 경찰서 자린데 그곳에 가는 길을 내가 잘 아니 말씀드리죠.

여기 노송동에서 전주북중학교 앞으로 해서 도립병원을 거쳐 법원으로 해서 옆으로 가면 제일 가깝게 바로 가는 길입니다.

그런데 우리 집이 바로 법원 뒤에 있으니까 제발 같은 값이면 이 길로 택해서 가주시면 우리집 가족들의 소식이라도 알 수 있으니 그렇게 해 주십시오.” 그랬더니 “그럼 그러자.” 쾌히 응낙을 합디다.

◆눈물이 앞을 가려

내가 부탁한 대로 길을 잡아서 오는데 벌써 재판소 모퉁이를 돌아오니까 눈물이 어려 앞이 잘 안 보여요.

참고 오는데 우리집 앞에 당도하니 천만 뜻밖에도 우리 형님이 대문 앞에 서서 우리 일행을 바라보고 있는 거예요.

전쟁이 나자 우리 가족들은 덕진 연화동 이모님 댁으로 피난 갔었는데 형님이 집을 둘러보러 오셨다가 대문에 쇠를 채우고 돌아서는데 웬 죄수들이 끌려오니까 거기 서서 구경을 하는 겁니다.

그래서 내가 “형님~” 하면서 그대로 쫓아가서 형님을 끌어안았지요.

그랬더니 형님이 알아보고 깜짝 놀라며 “웬일이냐.”하고 물어보기에 “자세한 이야기는 할수 없고 제가 살아 왔으니깐 형님 안심하세요.”하고 떨어졌어요.

우리 가는 일행을 형님이 뒤에서 따라왔어요. 경찰서 치안대로 가서 그 안에 들여보내는 걸 형님이 보고 갔지요.

◆새빨간 거짓말

그런데 전주까지 20명을 무사히 호송하고 나면 우리는 석방에서 집으로 돌아가게 해준다 했는데, 새빨간 거짓말로 그게 아니고 같이 감방에 들어가라는 거예요.

그냥 밀어넣어 버립디다. 그제사 완전히 속은 것을 알았지요.

다음날 교화소로 보내졌습니다.

한편 우리 형님은 그 치안대로 붙잡혀 들어간 것은 아는데 바로 석방된다고 해서 이제나 저제나 기다리고 있었나봐요.

그런데 나오지도 않고 소식도 없고 그러니 형님 나름대로 여기저기 선을 대어 알아보니까 치안대에는 없고 교화소로 넘어간 것 같다는 소문을 들었대요.

가족들이 얼마나 답답하고 걱정이 컸겠어요.

◆전주 형무소 학살에서 살아나 미결수로

교화소(1950년 6.25 당시 인공치하 전주형무소)로 막 정문에 들어가려고 하니 그 철문 앞에서 수감자들이 일을 하고 있어.

얼핏 보니까 우리 중학교 송형주 선생님과 이규섭 선생님 그리고 이름을 모르는 두 분 이렇게 네 명이 지게를 지고 흙일을 하고 있대요.

우리가 선생님을 불렀지.

그랬더니 깜짝 놀래시면서 “아 너희들 웬일이냐!” “학도병 갔다가 이렇게 되었습니다.” 그랬더니 “너희는 죄가 없으니 괜찮을 것이다. 걱정 말고 편안히 가 있거라.” 그럽디다.

그 양반들은 잡혀 들어온지가 오래 되었나 봐요.

머리도 깎고 익숙한 솜씨로 일을 하면서 걱정 말라고 손짓을 하대요.

무주에서 붙잡혀온 우리 20명이 끌려 들어가서 여러 방으로 나뉘어 수감되었습니다.

그때는 수감자가 그리 많지 않았는지 우리 둘하고 또 한사람이 들어왔습니다.

나이가 많으신 분입디다.

어디서 오셨냐고 여쭤보니까 군산에서 왔는데 목사라고 그래요.

그런데 감방에다 집어넣어 놓고 며칠이 지나도 조사도 않고 물어보지도 않아요.

그러니까 더 답답하지요.

죄수들이 제일 고통스러워 할 때가 미결수로 있을 때라고 들었는데 그 말이 맞는 것 같아요.

우리를 단죄해서 징역을 살린다든가 어디로 유배를 보낸다든가 하면은 그걸로 체념하겠는데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고 물어보는 말도 없고 그냥 처박아놓고만 있으니…. 갑갑하지요.

앉았다가 섰다가 조그마한 방에서 미칠 것만 같아요.

전종환 6.25 학도병은?

▷전주고교,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졸업, ▷전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최고정책관리자과정수료, ▷전라북도 기획관, ▷순창군수, ▷완주군수, ▷전라북도 보건사회국장, ▷식산국장 ▷내무국장, ▷정읍시장, ▷이리시장, ▷군산시장, ▷전라북도 기획관리실장(이사관 정년퇴임), ▷전라북도 교통문화연수원장, ▷(주)한풍 상임고문, ▷전라북도 애향장학재단 이사 ▷대통령 표창, ▷6.25참전유공훈장, ▷국가발전 유공자 표창, ▷녹조근정훈장, ▷적십자 유공장, ▷애향장, ▷서울대학교 공로장, ▷노태우-전두환 대통령 표창메달

저작권자 © 투데이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