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영 전북교육감 예비후보는 30일 "전북학생인권센터 직원이 인권교육센터의 시설대여와 관련해 ‘특정 부서나 개인의 시설 대관을 제재할 목적의 이른바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공유‘했다는 보도가 나왔다"며 "도교육청 주요 부서,기관간의 다툼과 갈등은 불통과 아집, 폐쇄적 리더십을 심은 김승환예비후보의 책임"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전북학생인권교육센터가 수사기관처럼 과도한 권한을 행사하면서 교사의 교육권을 침해하거나 강압적인 권한을 행사한다는 비판과 함께 기능개편을 촉구하는 여론이 많았다"며 "인권교육센터가 대여를 제재하던 대상으로 지목한 부서는 다름 아닌 교육감 비서실을 비롯해 미래인재과 등 도교육청 내에서 교육감의 막강한 권한을 등에 업고 소위 ‘갑질’을 행사한다는 곳으로 소문난 주요부서" 라고 꼬집었다.
이 예비후보는 "인권교육센터와 블랙리스트 목록에 오른 도교육청 부서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는 자세히 알 길은 없다"면서 "문제의 핵심은, 교육감의 권력을 독점, 행사하려는 주요부서와 기관 사이에 쌓여진 주도권 다툼 갈등이 외부로 표출됐다는 점"이라고 했다.
이 예비후보는 "전북도교육청의 주요부서가 이른바 ‘갑질’행위나 하면서 교육청 내 부서와 기관 간 갈등을 조장하고 있었는데도 김승환교육감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더 큰 문제"라며 "또한 인권을 다루는 학생인권센터가 ‘블랙리스트’ 형태로 문제를 접근했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단순히 넘어 갈 사안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엄범희 기자
bhaum2730@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