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관련 기록물 전수조사 및 전주정신의 숲 설립을 위한 T/F팀 구성·내달부터 가동

전주시가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전주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전주관련 각종 인문학적 기록물을 한곳으로 모으는 ‘(가칭)전주정신의 숲’ 설립 작업을 본격화한다.
시는 휴먼플랜 5G 정책 중 하나인 글로리(Glory) 전주 실현을 위해 공공기관과 각 가정 등에 흩어져 있는 전주의 역사와 문학, 미술, 건축, 음악, 한지, 한식, 예술 등의 인문학적 자료들을 수집, 내년 9월까지 전주시민이 공유할 수 있는 공동체 정신인 ‘전주정신’이 집대성된 ‘전주정신의 숲’을 설립할 계획이다.
시는 공공기록물 보관소(manuscript archives) 형태로 설립되는 이 ‘전주정신의 숲’에 전주 관련 각종 기록물들을 모아 보관하고, 감영목판이나 한글고전소설 등 완판본이라는 책을 찍어낸 출판의 도시인 전주의 기록문화만의 특색을 부각시킨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시는 팀장과 팀원 3명, 공무원 기록연구사 등 총 5명으로 ‘전주정신의 숲 설립을 위한 T/F팀’을 구성하고, 다음 달부터 설립 시기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T/F팀장은 전주정신의 숲 설립을 총괄 지휘하고, 팀원들은 기록물 현장조사와 수집기록물 분석 및 기술, 기록물 수집 기획 및 전시, 대외협력 및 홍보, 디지털 플랫폼 네트워크 구축, 기록조사 장비 운영을, 기록연구사는 T/F팀 운영지원을 각각 담당하게 된다.

당초, 시는 ‘전주기록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해 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기록원이라는 명칭에서 자칫 행정기록물 중심의 국가기록원 산하 지방기관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고, 전주시가 구상하고 있는 민간과 행정 기록물을 총망라하는 독창적인 기록물 수집전시 기관 구축을 위해 전주정신의 담겨있는 ‘전주정신의 숲’이라는 명칭을 사용키로 했다.
이와 관련, 시는 지난 16일 ‘전주관련 기록물 전수조사 및 전주정신의 숲 설립·운영 기본계획 학술용역’에 대한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무형문화연구소)이 수행하는 이번 학술용역은 전주관련 기록물 전수조사와 전주정신의 숲 설립·운영 기본계획 수립에 대한 것으로, 첫 번째 용역과제인 전수조사에서는 고하문학관과 부채문학관, 신아출판사, 전북대학교 박물관, 전북도립국악원, 전주역사박물관 등 기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총 10만여 점의 전주관련 기록물이 조사됐다.
또한, 전주정신의 숲 설립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주의 문화적 정체성 확립 △전주정신 구명 △‘전주다운’삶의 가치제고와 미래방향 제시로 정의하고, 전주정신의 숲의 성격과 역할, 수집대상 등을 꾸준히 정립해 나가고 있다.
시와 용역팀은 앞으로도 공공기관과 교육, 의료·복지, 문화, 무형문화재, 언론·출판, 비영리단체 등 전주관련 기록물을 보유하고 있는 721개 기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나아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전주정신 정립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전주인문학 365사업과 문화평생도시 구축 등을 통해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전주만의 정체성을 확립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전주시 기획조정국 관계자는 “전주관련 기록물 전주조사와 전주정신의 숲 설립·운영 기본계획 수립, T/F팀 구성으로 전주정신의 숲 설립을 위한 본격적인 사업이 시작됐다”며 “앞으로 전주정신의 숲의 성공적 설립·운영을 통해 전주시만의 독창적인 기록문화를 조성하고, 전주정신을 다양한 기록물과 콘텐츠를 시민이 활용하고 후대에 계승하기 위해 사업에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