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의원 “19만 원 티켓이 800만 원?”…40배 폭등한 공연 암표 시장

2025-10-09     투데이안

- 암표 신고 2020년 359건 → 2024년 2,224건 급증
-전담인력 1명, 타 업무 병행… 문체부 대응 ‘속 빈 강정’
-박수현 의원 “정부·예매처·플랫폼 협력체계 강화 시급”

[투데이안] 19만 원짜리 공연 티켓이 800만 원까지 치솟는 암표 시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신고 의존형’에 머물러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수현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연분야 암표 신고 건수는 2020년 359건에서 2024년 2,224건으로 4년 만에 6배 이상 급증했다.

코로나19 이후 공연시장 회복과 함께 온라인 중심의 암표 거래가 폭증하면서 신고 건수는 2022년 4,224건으로 정점을 찍었다.

올해(2025년) 8월까지도 이미 1,020건의 신고가 접수돼, 연말 기준으로는 지난해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한국예술경영지원센터의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열리는 ‘NCT WISH(엔시티 위시)’ 콘서트의 경우,
정가 15만4,000원의 시야제한석은 최저 36만 원, VIP석(정가 19만8,000원)은 최대 800만 원까지 거래되고 있었다.

정가 대비 40배가 넘는 폭등 가격이다.

'공연법' 제4조의2는 ▲매크로 등 부정한 방법으로 예매하고 ▲웃돈을 받고 재판매하는 행위를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요건을 동시에 입증해야만 처벌이 가능해, 현실적으로 단속이 어렵다.

박 의원실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2023~2025년 8월까지 전체 신고 5,405건 중 유효신고는 306건(5.6%)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 예매처와 협력해 발권 취소 등 실질적 조치가 이뤄진 건수는 206건에 그쳤다.

즉, 신고 100건 중 4건만 실질적인 제재가 이뤄진 셈이다.

암표 거래는 대부분 중고거래 플랫폼과 SNS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실제 신고 접수 현황을 보면, 2024년 기준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한 거래가 1,701건(전체의 76%), 트위터·인스타그램 등 SNS 거래가 473건, 포털 카페·블로그를 통한 거래가 50건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암표 거래가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구조적 문제인데도 정부의 대응은 ‘신고 기다리기’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했다.

현재 ‘대중문화예술 분야 온라인 암표신고센터’를 운영하는 한국콘텐츠진흥원 공정상생센터에는 암표 대응 전담 인력이 단 1명뿐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마저도 암표 관련 업무 외에 타 부서 업무를 병행하고 있어 사실상 상시 대응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박 의원은 “문체부는 전담 인력을 즉각 확충하고, 매크로 예매·웃돈 판매 등 부정행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선제적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현 의원은 “암표 거래 피해는 결국 선량한 팬들과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며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사이, 플랫폼은 책임을 회피하고 예매처는 실질적 대응 수단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예매처·플랫폼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위법 거래에 대한 즉각적 차단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며“단순 과태료 수준이 아닌 강력한 처벌 규정을 도입해야 암표 시장을 근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