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민선 8기 4년 차 남원 최경식 남원시장 6대 분야, 41개 공약 중 23개 완료, 18개 정상 추진… 공약이행률 82% 달성
-최경식 남원시장 ‘전북대 남원글로컬캠퍼스 설립’ 진척 등
-국립기관 유치로 지역 기반 닦고 드론산업 통해 신성장산업으로 도시 경쟁력 확보 & 달빛어린이병원, 공공산후조리원, 인재학당, 피움하우스 등 정주여건 쇄신까지
-‘시민과의 약속’ 이행 통해 ‘문화와 미래산업으로 도약하는 남원 만들기’가시화 할 것
[투데이안] 민선 8기 4년 차에 접어든 남원시(시장 최경식)가 시민과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하며 ‘문화와 미래산업으로 도약하는 남원’ 실현에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최경식 남원시장은 민선 8기 출범 이후 ‘시민과의 약속은 곧 시정의 원칙’이라는 기조 아래 ‘문화와 미래산업으로 도약하는 남원’ 실현을 위한 6개 분야 41개 공약사업을 수립·추진하며 주요 현안 해결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행정력을 집중해왔다.
그 결과 남원시는 현재까지 ‘글로벌 융복합 교육기관 유치’, ‘전북 도내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학당 유치’, ‘남원형 지역 맞춤 일자리 창출’, ‘연중 스포츠대회 개최로 스포츠 명품 도시 도약’, ‘남원시 시민소통위원회 운영’ 등 23개 사업을 완료하고 18개 사업은 정상 추진 중으로 공약 이행률 82%를 달성하며 시민과의 약속 이행을 통해 ‘살고 싶은 남원’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 ‘시민과의 약속, 곧 시정의 원칙, 지역 발전의 토대‘
대표적으로 남원시는 국립기관 유치를 통해 지역 발전의 기반을 다지고 있는 공약 중 ‘전북대 남원글로컬캠퍼스 설립’이 현재 상당 부분 진척을 보이고 있다.
남원시는 8만 시민과 30만 향우들의 오랜 염원이자 시정 제1과제였던 폐교 서남대 문제를 2023년 교육부 글로컬대학 선정으로 해결했다.
이 사업을 통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폐교를 리모델링해 캠퍼스를 조성, 단순한 교육 인프라 확충을 넘어 도심 재생의 모범 모델로 만들고 있다.
총 60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남원 글로컬 캠퍼스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K-엔터테인먼트학과(정원 70명), 글로컬커머스학과(100명), 한국어학과(80명) 등 세 학과가 개설된다.
교육과정은 2026년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으로, 연간 250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입학해 1학년에는 한국어와 문화, 역사 등 기초 교양을, 2학년부터는 전공 수업을 이수하게 된다.
2027년 3월부터는 남원 글로컬 캠퍼스에서 본격적인 학사 운영이 시작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시는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제20대 대선 전북 지역 공약사업으로 남원에 유치한 국립 유소년 스포츠콤플렉스 조성사업도 사업비 490억원 전액 국비를 확보하고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2028년 개관 시 연간 10만여 명의 학생과 학부모가 남원을 방문하며 125억원 규모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지난해 경찰청 공모에서 남원 운봉 부지가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시는 166만㎡ 규모 국유지 등 남원만의 강점을 앞세워 영호남 도민과 경찰직장협의회 등과 함께 최종 유치를 위해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아울러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을 위한 공약사업도 순조롭게 추진 중이다.
‘미래 신성장산업 드론·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남원을 드론 레저 스포츠 중심도시로 발돋움시키고,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육성하는 핵심 사업으로, 국토부 드론특별자유화구역 3차 지정과 3년 연속 드론 실증도시 공모 선정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이를 통해 드론을 활용한 물류배송 서비스와 드론배송 사업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남원을 드론산업 중심도시로 발전시키고 있다.
◆ 역대 최다 공모사업 선정으로 미래성장동력 확보×역대 최대규모 국·도비 확보
이러한 가운데 남원시는 정부와 전라북도가 추진하는 다양한 공모사업에 연이어 선정되며, 역대 최다 공모사업 선정과 역대 최대 규모 국‧도비 확보라는 성과를 거뒀다.
이는 민선 8기 남원시 재정 기반을 더욱 튼튼히 하는 동시에 공약 이행에도 결정적 단초가 되고 있다.
실제로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재정자립도가 8%대에 불과했던 남원시 발전과 미래를 위해, 최경식 시장이 가장 먼저 집중한 것은 대규모 공모사업 발굴과 선정이었다.
지난 3년간 최 시장은 부처 문턱을 닳도록 광폭행보를 펼치는 한편, 전방위적인 예산 확보 활동을 통해 현재까지 ▲전북대 남원글로컬 캠퍼스 설립(604억원) ▲요천 통합하천(489억원) ▲주촌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396억원) ▲전북반할주택(320억원) ▲지역활력타운(220억원) ▲농촌협약(264억원) ▲곤충산업 거점단지(250억원) ▲대규모 스마트팜 창업단지(240억원) 등 총 265건의 공모사업에 6,603억원의 예산을 확보하며, 남원시 미래성장동력 확보의 기틀을 마련했다.
특히 국비 예산 확보는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으며, 지난 2023년 170건 1,780억원, 2024년 184건 1,446억원, 2025년 163건 1,654억원 등 총 517건, 4,880억원을 확보해 남원시 미래성장동력 확보에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
◆ 생애주기별 정주여건 대폭 개선, 더 살기 좋은 도시로!
그뿐만 아니다. 민선 8기에 접어든 남원시는 출산과 보육, 교육과 청년 주거, 의료와 돌봄까지 아우르는 전 생애 주기 맞춤형 도시로 도약하며, 시민들의 정주 여건을 한층 개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오는 12월 개관을 앞둔 공공산후조리원을 비롯해 달빛어린이병원, 심야약국 운영 등 맞춤형 정책이 실현되면서 아동과 산모 등 필수의료 안전망이 강화됐다.
또한 청년 만원주택과 반할주택 조성, 빈집 정비를 통해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에도 힘쓰고 있다.
이밖에도 해외 영어캠프, SW·AI 챌린지, 인재학당 건립 등은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을 높이고 교육 기반을 확충하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남원이 블루존 프로젝트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교룡산 자락에 고령자 치유마을도 조성 중이다.
실버타운, 건강지원센터, 치유 프로그램이 단계적으로 마련되며 웰에이징–웰케어링–웰다잉으로 이어지는 전 생애 지원체계가 구축, 남원은 ‘살고 싶은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남원 일반산업단지가 산업통상자원부 ‘기회발전특구’로 추가 지정된 데 이어, KTX 전라선과 달빛철도의 유일한 환승역인 KTX 남원역세권이 국토교통부 ‘2025년도 투자선도지구 지정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남원은 기업 친화 도시를 넘어 교통·산업·관광이 융합된 지역발전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자리잡고, 대규모 일자리 창출까지 기대되고 있다.
최경식 남원시장은 “민선 8기의 모든 성과는 시민들의 염원과 공직자들의 노력에서 비롯됐다”며 “4년 차에도 ‘시민과의 약속’ 이행을 통해 ‘문화와 미래산업으로 도약하는 남원’을 실현하고, 남원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바탕으로 흔들림 없이 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