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전북자치도, 탄소중립 이행 및 생태관광 선도 기반 확대

2025-07-22     엄범희 기자

[투데이안] 전북특별자치도가 2025년 상반기 환경·산림 분야에서 탄소중립 기반 확대와 도민 환경복지 향상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도는 탄소중립 이행, 생태관광 기반 확대, 생활환경 개선, 통합 물관리 체계 구축, 산림가치 증진을 중심으로 도민 안전과 복지 향상의 토대를 마련했다.

하반기에는 민관 협력 강화를 통해 탄소중립 실천과 생태관광 육성에 주력하고, 환경위해요인 저감과 물·산림재해 대응을 통해 도민 삶의 질을 한층 끌어올릴 방침이다.

◆ 탄소중립·생태복원 │ 탄소중립 이행 및 생태관광 선도 기반 확대

전북도는 탄소중립 이행 체계 구축과 민관 협력 강화를 위해 ‘전북형 탄소중립 포럼’과 ‘전북권 탄소중립 이행협의체’를 새롭게 출범시켰다.

14개 시·군 모두 기본계획 수립을 마쳐 지역 맞춤형 탄소중립 체계를 마련하고, 환경교육과 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 등 도민 참여형 프로그램도 활발히 추진했다.

정읍시는 환경교육 시범도시로 지정돼 지역 중심 환경교육을 본격화했으며, 도는 환경부의 ‘기후위기 적응대책 이행평가’에서 3년 연속 ‘매우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생태관광 분야에서는 서해안 세계지질공원 재지정 검증에 착수하고, 국가생태탐방로 조성, 람사르 운곡습지센터 건립 등 체류형 생태관광 기반을 강화했다.

익산 왕궁 자연환경복원사업도 연내 예타대상사업 선정을 목표로 전방위 대응에 나서고 있으며, 자원순환 문화 확산을 위한 ‘일회용품 없는 전북’ 선포와 다회용기 사용 확대도 병행하고 있다.

◆ 생활환경 │ 환경위해요인 관리로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및 환경복지 실현

도는 완주 비봉면 악취관리지역 지정으로 십여 년 간의 악취 민원 해결에 돌파구를 마련했다.

악취저감시설 설치와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해 주민 불편을 줄였다.

김제시 등 4개 시·군과 ‘혁신도시 악취저감 민·관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추가 악취관리지역 지정 및 저감시설 개선도 추진 중이다.

노후 슬레이트 2,806동 철거와 건강취약계층 전자파 측정 등 환경복지 실현을 위한 사업도 병행됐다.

환경오염물질 사업장에 대해서는 사전예고제, 직무교육, 기술지원을 통해 최근 2년간 환경법규 위반율을 29.3% 줄이는 성과를 거뒀으며, 환경부의 ‘배출업소 환경관리 실태평가’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

◆ 물통합관리 │ 지속가능한 물복지 실현과 통합 물관리 체계 강화

도는 옥정호 녹조대응TF를 진안·순창까지 확대하고, 광역상수원 주변 모니터링과 민관 협력체계를 강화해 깨끗한 유역관리와 물환경 조성에 나섰다.

부안 위도 지하수저류댐 설치, 농어촌 급수취약지역 상수관로 215km 매설 등 물공급 기반 확충도 본격 추진됐다.

마을하수도 신·증설과 하수관로 정비로 농어촌 하천 수질개선에 기여했으며, 지방하천 48개소 정비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 설치, 하천변 진출입 차단시설 운영 등 맞춤형 안전대책도 추진 중이다.

도는 앞으로 용담호 수질관리 강화, 상하수도 시설 확충, 자연친화적 하천 정비로 통합 물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 산림 │ 숲이 품은 미래, 녹색인프라 확대 및 산림가치 증진

산림 분야에서는 유아숲체험원,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등 9개소 신규 산림복지시설 조성과 72개소의 정원·숲길·도시숲 조성으로 산림복지 기반을 확충했다.

상반기 산불 26건에 신속히 대응해 피해면적을 전국 대비 최소화했고, 산림병해충 방제와 산사태 예방, 임도 신설·보수로 재해 예방에 앞장섰다.

1,587ha에 338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6,571ha 숲가꾸기를 완료해 산림의 탄소흡수원 기능도 강화했다.

이러한 성과로 전북도는 ‘전국 지자체 산림분야 합동평가’ 우수기관 선정과 ‘도 혁신도정상’을 수상했다.

송금현 환경산림국장은 “상반기 도민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환경보전과 지역 발전이 조화를 이루는 정책을 적극 추진했다”며 “하반기에도 하천관리, 산림재난 대응, 생태관광 및 산림복지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