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민협의회·전주시민협의회, 상생발전 방안 1차 협의
–107개 과제 중 105개 실질 논의… 30일 2차 협의 예정
[투데이안] 완주·전주 통합을 둘러싼 민간 차원의 상생발전 논의가 본격 궤도에 올랐다.
완주군민협의회(공동대표 나유인·성도경)와 전주시민협의회(위원장 박진상)는 23일 완주군 삼례읍 협의회 사무실에서 1차 실무 협의회를 열고, 양측이 제안한 완주·전주 상생발전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번 회의는 양 협의회가 마련한 107개 상생과제 중 시민협의회가 수용 결정을 내린 102개 안과 조건부 수용으로 결정한 3개 안을 포함해 총 105개 과제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조건부 수용된 과제는 ▲초중학교 급식에 지역 로컬푸드 활용 확대 ▲양 시·군 사회복지사 및 요양보호사 처우 상향평준화 ▲지역대학 수소전문학과와 수소고 연계 확대 등이다.
반면, ▲읍·면 이장 수당 확대 ▲신설 삼봉중학교의 영재학교 육성 등 2개 과제는 재검토사업으로 분류돼 오는 30일로 예정된 2차 협의회에서 추가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군민협의회는 이들 과제에 대해 법적 개선 방안 검토와 주민 요구를 반영해 수용을 요청했다.
시민협의회는 지난해 10월 군민협의회의 상생발전안 제안 이후 14차례 분과회의와 2차례 운영위, 전체회의를 거쳐 107개 과제를 마련해 군민협의회에 전달한 바 있다.
양 협의회는 협의가 마무리되면 최종 합의문을 전북도, 전주시, 완주군에 전달하고 공식 수용을 요구할 예정이다.
또, 기존 상생안에 담기지 않은 군민 요구 사항은 추가 발굴해 추후 논의 재개를 통해 보완한다는 계획도 함께 밝혔다.
나유인 공동대표는 “이번 협의가 완주와 전주의 통합을 위한 실질적인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고, 성도경 공동대표 역시 “지역의 균형발전과 공동 번영을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고 평가했다.
박진상 시민협의회 위원장은 “민간 차원의 자발적인 논의가 가시화되고 있어 통합을 향한 시민들의 열망이 느껴진다”며 “도와 양 시·군의 전폭적인 수용과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 협의회는 이후 완성된 상생발전 방안을 통합추진공동위원회에 정식 건의하고, 이행 상황을 지속 점검해 통합 이후 실질적인 정책 실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