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의 풍속
2013-06-12 박래윤 기자
단오의 풍속
입하와 소만을 지나 음력 오월이 되면 태양의 열기가 뜨거움을 더해 간다. 오월의 절기로는 망종과 하지를 들 수 있다. 절기는 태양의 운행에 기초를 둔 것 이며, 농사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예컨대 망종은 보리나 벼와 같이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 을 거두거나 모를 내는 절기이며, 하지는 낮 시간이 가장 긴 절기를 말한다. 이 시기의 농사력은 《농가월령가》오월조의 농사관련 부분에 잘 나타난다.
문 앞에 터를 닦고 타맥장하오리라 / 도리깨 마주서서 짓내어 두드리니 잠농을 마를 때에 사나이 힘을 빌어 / 누에섭도 하려니와 고치나무 장만하소 오월오일 단오날 물색이 생신하다. / 외밭에 첫물따니 이슬에 저으며 모찌기는 자네하소 논심기는 내가 함세 / 들깨모 담배모는 머슴아이 마타내고 가지모 고추모는 아이딸 너 하여라. / 맨드람 봉선화는 네 사천 너무마라.
오월은 여름철 세시풍속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대표적인 명일로는 5월5일 '단오날'을 들 수 있다. 단오날은 고려시대의 9대 명절에 속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에 속하였다. 단오는 일년 중에서 가장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 해서 큰 명절로 생각하여 여러 가지 풍속과 행사가 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