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모친의 병환이 위중해지자 A씨는 친환경 장묘문화로 각광 받고 있는 수목장(樹木葬)을 고려해 봤지만, 결국 유골 봉안 방식을 택했다.

환경오염도 막고 어머니의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은 수목장이 마음에 들었지만, 정작 이용할 시설이 없었기 때문이다.

최근 환경오염과 산림보전 등의 대안으로 수목장이 새로운 장묘문화로 떠오르고 있지만, 청정지역으로 꼽히는 전북에는 시설이 없어 유치 및 설립이 시급하다.

18일 장묘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국토의 1%(998㎢)가 묘지로 잠식되고, 해마다 여의도 면적의 1.2배(9㎢)에 해당하는 땅이 묘지로 변하고 있다.

특히 개발제한구역이나 상수원보호구역 인접지, 국유지 등에 무단으로 조성돼 있는 불법 묘지는 장묘문화의 대안을 더욱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목장은 이처럼 환경을 파괴하고 국토를 잠식한다는 비판을 받는 기존의 장묘문화를 일신하기 위해 도입된 방법으로 분골이 수목의 거름이 되는 자연친화적 장묘 형태다.

자연친화적 방식으로 환경을 보전할 뿐 아니라 공원화가 가능해 영국과 스웨덴, 독일, 캐나다, 미국 등 다수 선진국에서는 보편화됐으며, 국내에서도 2008년 처음 도입된 후 제도적 보완을 거쳐 현재 전국 수십 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자치단체도 수목장 문화에 앞장서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부터 시립묘지에 수목장 문화를 도입했다.

시는 경기 파주시 광탄면에 있는 용미리 1묘지 1만4710㎡에 추모목 370그루로 구성된 '수목형 자연장' 묘역을 조성했다. 이 묘역에는 총 3065위가 안치될 수 있다.

이처럼 수목장은 자치단체와 민간의 벽을 넘어 도입을 서두르고 있지만, 청정지역이라 자부하는 전북에서는 시설을 찾아볼 수 없어 환경오염 방지와 산림보전을 위해 시설 유치 및 설립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장묘 업계 관계자는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수목장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높지만 자치단체의 무관심과 인근 주민의 반발 등으로 인해 시설 설립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환경을 보전하고 산림을 보호하는 등 효과적 장묘문화로 꼽히고 있는 수목장 시설에 대한 설립 및 유치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가족부가 최근 전국의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본인의 장사방법으로 80% 이상이 화장을 희망하고,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49.1%가 수목장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투데이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