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론 재난 현장 활용하면 상황대처 5배 이상 빨라진다.'

드론을 화재 등 재난 사고에 활용할 경우 긴급 상황 대처 능력이 평균 3~4배 이상 신속해진다는 게 실험을 통해 입증됐다.

전주대 소방안전공학과 김동현 교수는 20일 “국민안전처의 의뢰를 받아 고층건물 화재와 산악 사고, 해상 실종사고 등에 소방드론 적용 실험을 한 결과, 사고내용 파악이나 정보 수집 시간이 지금보다 최고 5배 이상 빨라진다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드론을 재난 상황에 적용해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시한 것은 김 교수가 처음이다.

김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정리한 ‘드론의 소방분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논문을 10월 6일 국민안전처가 주관하는 ‘제 28회 국민안전 119소방정책 컨퍼런스’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김 교수와 전주대 소방안전공학과 학생들은 지난 7월 경남 창원소방본부의 협조를 얻어 시뮬레이션을 실시했다. 장비로는 펌프차, 구급차, 지휘차 등 드론이 동원됐다.

창원소방본부 119상황실에서 출동 지령을 하면 마산소방서의 대원들이 현장 출동을 했다.

고층 화재 실험은 창원시 성산구에 있는 기업체의 기숙사에서 진행했다. 15층 화재가 발생하자 드론은 신고 접수 2분 37초 만에 현장에 도착했다.

하지만 펌프차나 구급차는 6분30초로 드론 보다 2배 더 걸렸다.

현장 도착이후 화재 발생 지점을 파악 하는데 드론은 1분15초, 화재 진압대원은 3분44초로 나타났다.

돝섬(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한 해상실종사고 실험에서는 현장 도착에 드론은 5분, 고무보트 7분, 수색대원은 10분이 걸렸다.

현장에서 조난자를 발견까지는 드론 5분32초, 고무보트 9분43초, 수색대원은 무려 33분이 걸렸다.

암벽(창원시 마산회원구 팔용산)등반 추락 사고의 경우 드론의 현장 도착시간은 2분58초로 구조대원(15분 58초)보다 5배 정도 빨랐다.

특히 드론은 환자의 상태를 카메라로 줌인 촬영해 지휘본부가 소방헬기 투입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국민안전처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우리나라의 재난, 재해 관련 손실은 4조원대, 피해자는 11만 여명(사망, 실종, 이재민 포함)이른다.

김 교수는 “소방드론 등이 재난상황 대체에 효율적이지만 항공법이 초경량비행장치(드론)를 인구밀집 지역이나 야간의 비행이 금지하고 있어 실제 활용면에서 손발이 꽁꽁 묶여 있는 셈“이라며 ”재난 재해 발생으로 인한 긴급 출동시 이를 예외로 인정해 주는 법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